본문 바로가기
IT 프로그램

곰플레이어의 특징과 사건사고 알아보기

by IT 플로우 2021. 1. 24.

안녕하세요. 오늘은 곰플레이어의 특징과 사건사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곰플레이어의 특징과 사건사고

곰플레이어 소개

곰플레이어는 처음에 구루구루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입니다. 이름인 곰플레이어의 곰은 우리가 알고 있는 그 곰이 아니고 Guruguru Online Movie player의 약자였습니다. 이렇게 구루구루에서 만든 프로그램인 곰플레이어는 구루구루 서비스가 끝나고 나서 명칭이 변경되었는데 그렇게 변경된 이름이 바로 Gretech Online Movie player입니다. 그렇지만 아이콘이 곰 발바닥 모양인 이유는 곰이라고 불리기 때문에 이런 아이콘으로 지어졌습니다. 곰플레이어는 몇 년 전까지 군대 사이버 지식 정보방에서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지금은 거의 모든 군부대에서 사용이 불가능 해졌습니다. 따라서 군부대에서 영상을 보려면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영상을 시청해야 합니다. 이 곰플레이어는 이전에 사사미라는 동영상 플레이 프로그램이 더 이상 개발을 하지 않아서 smi 자막을 지원하는 몇 안 되는 프로그램 중 하나였습니다. 그런 프로그램들 중 가장 안정적인 기능을 가졌던 곰플레이어가 사람들의 선택을 받게 되었고, 처음에는 VOD 서비스를 위주로 개발을 하다가 동영상 프로그램을 개발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곰TV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VOD 서비스도 함께 지원을 해주고 있습니다. 2010년도에 곰플레이어는 무료로 프로그램을 제공했습니다. 또한 간결한 인터페이스도 사용자들에게 선택을 받은 이유 중에 하나였습니다.

곰플레이어 사건

곰플레이어는 내장된 ActiveX DLL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게 했습니다. 그런데 이와 관련된 기능을 사용하던 사용자가 메일 내용을 안 좋게 편집을 하고 공개를 하면서 곰플레이어는 피해를 입었습니다. 바로 곰플레이어를 이용하면 개인정보가 누출된다는 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소문은 지금 근거가 없는 이야기로 결론이 났습니다. 또한 곰플레이어의 가장 치명적인 단점은 고화질 영상이 잘 안 돌아간다는 것입니다. 화질이 1280x720 이상인 영상은 끊겨서 재생이 되고, 블루레이 영상인 경우에는 영상이 아예 멈추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는 CoreAVC 혹은 PowerDVD와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해결이 가능하지만 사람들은 이런 것들을 귀찮아하기 때문에 불편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지금은 MP4 같이 높은 음질을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이 필요한데, 곰플레이어는 이러한 소리가 안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들은 불편함을 호소했지만 곰플레이어 개발자 측은 해결을 해주지 않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지금 사용자들이 다른 프로그램으로 플레이어를 바꾸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설치 시 불편함과 악성코드 유포 논란, 프로그램을 종료할 때 광고가 나오는 시스템 등 많은 단점들이 나오면서 사람들은 점점 곰플레이어를 외면하게 되었습니다. 설치 시 불편함은 설치 과정에서 잘 보이지 않는 곳에 홈페이지를 바꾸는 사항이 체크가 되어있는 경우가 있고, 다른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곳에도 체크가 되어있는 등 불편한 요소들이 나타납니다. 또한 프로그램을 종료할 때는 인터넷에 자동으로 광고가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계속 나타나자 사람들은 불편함을 느끼고 곰플레이어를 외면하게 되었습니다.

나의 견해

곰플레이어에 대한 저의 견해는 다음과 같습니다. 저도 몇 년 전에는 곰플레이어를 사용했습니다. 간편하고 자막 지원도 잘해주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계속 이용을 하면서 영상이 끝나고 광고도 점점 많이 나타나게 되고 다양한 영상의 그래픽은 높아지지만 곰플레이어의 시스템은 발전 속도가 느리다고 생각되었습니다. 영상이 끊기기도 하고 소리가 안 들리는 등 불편한 요소들이 하나둘씩 생겨나면서 저도 다른 플레이어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예전에는 인기가 많았던 곰플레이어지만 지금은 사용하는 사람이 많이 없습니다. 사용자들의 요구를 잘 들어주고 개발했다면 오래갈 수 있었겠지만 그런 부분이 부족해서 사람들이 외면하게 된 아쉬운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