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프로그램

크롬(Chrome)의 특징 및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기

by IT 플로우 2021. 1. 24.

안녕하세요. 오늘은 크롬의 특징 및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크롬(Chrome)의 특징 및 문제점

크롬의 개요

크롬은 2008년에 구글에서 출시한 브라우저입니다. 이 브라우저는 처음부터 애플이 만들어낸 Webkit를 탑재했습니다. 그러고 나서 29 버전이 되었을 때 새로운 블링크 엔진을 직접 만들어서 사용했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웹킨 엔진은 원소스입니다. 크롬은 이 엔진을 이용하는 대신 블링크 엔진 소스코드는 애플이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구글은 크롬의 엔진을 공개해야 했고, 지금은 소스코드를 누구나 볼 수 있게 했습니다. 그 후 지금 크롬은 브라우저 중에 가장 이용자가 많은 상황입니다. 옛날 익스플로러를 사용하던 사람들은 크롬을 사용하고 나서 그 속도에 감탄했습니다. 또한 인터페이스도 기존의 브라우저들과 다르게 간단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크롬은 사람들이 창을 보기 쉽게 하였기 때문에 더욱 선택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크롬은 다른 브라우저들과 다르게 탭을 생성하면 프로세스를 따로 운영하기 때문에 메모리의 사용이 더 많습니다. 이것이 단점이라고만 할 수는 없습니다. 각 탭마다 프로세스가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탭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탭에는 따라 문제가 생기는 일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한 번에 창이 꺼지는 위험이 적습니다. 또한 크롬은 구글에서 만든 만큼 좋은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복잡한 요소가 많이 없기 때문에 로딩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 크롬의 장점입니다. 점유율은 2010년대에 3위로 나타났지만, 1년 후 2등으로 올라가는 등 빠른 성장을 하며 지금은 약 70%의 점유율로 1등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크롬의 문제점

구글의 크롬도 문제점이 있습니다. 우선 램의 용량을 많이 차지합니다. 앞서 말한 것처럼 탭을 새로 만들 때마다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기 때문에 많은 용량이 발생합니다. 이는 작업 관리자에서도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작업 관리자 창을 열고 크롬을 보면 용량이 매우 크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몇몇 사진이 잘 보이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좋지 않은 성능을 가진 PC를 사용하다 보면 이미지가 많은 사이트는 속도가 매우 느려집니다. 다음으로는 전력입니다. 크롬은 많은 용량을 차지하는 만큼 전력도 많이 차지합니다. 이와 관련된 부분을 구글에게 많은 사람들이 문의했지만 구글은 움직임이 크게 없습니다. 다음은 유튜브 영상의 화면이 가끔씩 잘 안 보이는 현상이 있습니다. 화질을 자동으로 설정했을 때 나타납니다. 자동으로 화질이 변하는 순간 화면이 잘 보이지 않는데, 이 부분은 화면의 크기를 조정해주는 것으로 해결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런 부분도 해결을 해주지 않고 있습니다. 다음은 기능 문제입니다. 크롬은 인쇄를 할 때 저장의 기능이 없습니다. 따라서 인쇄를 하면서 하나하나 할 때마다 옵션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탭이 많은 경우에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탭을 많이 만들어서 사용하는 사람들은 각각의 탭이 어떤 탭인지 알아야 쓸 수 있는데 탭이 너무 많아지게 되면 탭의 이름을 확인할 수 없게 만들었습니다. 이 부분은 이용자들이 가장 불편해하는 기능입니다. 그리고 가끔은 창을 클릭하다가 탭이 갑자기 종료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황당하지만 이런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다음은 개인정보 문제입니다. 이는 조금 민감한 문제입니다. 개인정보 문제가 많았던 크롬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습니다. 구글에 로그인을 하지 않았는데도 정보가 입력이 되고 어떤 사이트에 들어갔는지 기록이 되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사람들은 불만을 이야기했고, 구글은 이 사항을 수정하였습니다. 이외에도 문제점이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나의 견해

크롬에 대한 저의 견해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글에서 만들어낸 브라우저라서 좋을 줄만 알았는데 이용해보니 문제점도 상당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용을 하면서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느낀 적이 있지만, 저도 마찬가지로 창을 많이 띄우다 보면 브라우저의 속도가 느려진다는 것을 체감했습니다. 이런 부분에서 구글의 크롬은 불편하다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인정보의 문제점도 있었다는 것이 아쉽습니다. 아무리 빅데이터 시대라고 해도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하는 시스템을 만들어낸 것이기 때문입니다. 앞으로는 많은 기능과 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크롬을 이용하게 해 주었으면 좋겠습니다.